본문 바로가기
생활 지식/생활정보

[실생활] 태풍 힌남노 이동경로, 풍속별 세기, 명명법

by 얕넓지식 2022. 9. 4.
반응형


안녕하세요
얕고 넓은 지식, 상식, 일상생활을 공유드리는 얕넓지식 입니다.
이번 태풍이 한국 근처로 지나가며 태풍의 이름 짓는 방식, 풍속에 따른 상황, 이번 힌남노의 상황 등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태풍 이름 명명법


이번 태풍의 이름은 힌남노 입니다.
라오스 국립보호구역 지역명을 따왔으며 라오어로는 '돌가시 새싹'이라는 뜻입니다.

태풍의 이름은 이전의 태풍 매미처럼 순한 이름으로 붙이는데 이유는 태풍이라면 피해가 극심하기에 이름을 순하게 붙여 안전하길 기도하는 마음에 순하게 붙인다고 합니다.

태풍의 이름은 세계기상기구(WMO)에서 태풍영향권에 있는 14개국으로 부터 10개씩 이름을 받아 순차적으로 이름을 붙입니다.

국가명 1조 2조 3조 4조 5조
캄보디아 담레이 콩레이 나크리 크로반 트라세
중국 하이쿠이 잉싱 평선 두취안 무란
북한 기러기 도라지 갈매기 수리개 메아리
홍콩 윈윙 마니 풍윙 초이완 망온
일본 고이노 우사기 노토 구구마 도카게
라오스 볼라벤 파북 노카엔 참피 힌남노
마카오 산바 우딥 봉퐁 인파 무이파
말레이시아 줄라왓 스팟 누리 춤파카 므르복
미크로네시아 에위니아 실라코 네파탁 난마돌
필리핀 말릭시 다나스 하구핏 루핏 탈라스
대한민국 개미 나리 장미 미리내 노루
태국 프라피룬 위파 메칼라 니다 꿀랍
미국 마리 프란시스코 히고스 오마이스 로키

 

#2 풍속별 세기

이번 힌남노는 대한민국 돌입전 초속 54m이라고 하는데요
기상청에서 풍속을 알려주지만 그정도 풍속이 얼마나 되는지 모릅니다.
이번엔 풍속이 실생활에서 어느정도의 상황이 되는지 알아봅시다.

바람 풍속별 세기


기상청의 자료를 보시면 철제크레인이나 송전탑이 쓰러질수 있을 정도의 큰 태풍인데요.
모두 대비를 하여 큰 피해가 없길 바랍니다.

 

#3 힌남노 이동경로 및 세기

 


한남노는 화요일 제주도 동쪽 약 30km 해상에서 45m/s로 화요일 오후 3시경 한반도를 빠져나가게됩니다.
모두 태풍 대비하여 큰 피해가 없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