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지식/안전 동종 사고사례 예방9 2024 산업재해 통계 분석: 사망자는 왜 줄지 않았을까? 2024년 산업재해 통계가 공개됐습니다. 겉으로 보기엔 전년 대비 재해율 증가 폭이 크지 않아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사망자 수, 질병 재해율, 특정 업종 재해자 수가 모두 증가했습니다.그중에서도 눈에 띄는 건 ① 60세 이상 고령자 사망자 비중, ② 5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의 위험성, ③ 떨어짐·끼임 사고의 지속 반복입니다.> 전체 사망자 수: 2,098명 (전년 대비 4.1% 증가)> 재해율: 0.67% / 질병재해율 15.7% ↑> 고령자(60세 이상) 사망자 비중: 48.9%> 건설업 사망자: 전체 39.7% 차지#1. 사망자 수 증가 업종은?건설업은 여전히 사망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업종으로, 전체의 39.7%를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제조업(+22명), 운수창고통신업(+27명), 기타의사.. 2025. 5. 18. 중량물 낙하 사고 | 고철다발에 맞아 사망한 작업자 선별장에서 발생한 낙하물 사고 사례를 소개합니다. 해당 사고의 원인과 예방 방안을 통해 작업 안전의 중요성을 확인하세요."안전은 작업장에서 최우선 과제입니다.모든 작업자는 안전수칙을 준수하며,철저한 점검으로 사고를 예방해야 합니다."낙하물 사고 개요 및 현황2025년 3월 17일 경기 구리시 소재 선별장에서 재해자가 인근에서 작업 중이던 굴착기에서 떨어진 고철다발에 맞아 중상을 입고 치료 중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사고 원인 및 문제점고철다발 적재 작업 중 적절한 고정 미흡.작업 반경 내 근로자 출입 통제 부족.낙하물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안전조치 미흡.예방 대책 및 안전 수칙이와 같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대책이 필요합니다:고철 적재 및 이동 작업 시 안전 고정 장치 필수.운반 중인 .. 2025. 3. 23. 추락 사고 | 지붕재 보수 중 13m 아래로 추락하여 사망 지붕재 보수 작업 중 발생한 추락 사고 사례를 소개합니다. 해당 사고의 원인과 예방 방안을 통해 작업 안전의 중요성을 확인하세요."안전은 작업장에서 최우선 과제입니다.모든 작업자는 안전수칙을 준수하며,철저한 점검으로 사고를 예방해야 합니다."추락 사고 개요 및 현황2025년 1월 17일 전남 영암군 소재 공장에서 지붕재 보수 작업 중 추락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재해자는 작업 도중 지붕재가 깨지며 약 13m 아래로 추락하여 사망에 이르렀습니다. 해당 사고는 안전장비 미착용 및 작업장 관리 부실로 인해 발생한 중대재해로 기록됩니다.사고 원인 및 문제점안전장비(안전대) 미착용.지붕재의 취약성 및 보강 작업 미흡.작업 전 안전 점검 및 관리감독 부족.예방 대책 및 안전 수칙유사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2025. 1. 20. 사다리 사고 | 배관 보수, 비막이 보수, 가지치기 중 추락으로 인한 사망 사다리 작업 중 발생한 중대재해 사례를 소개합니다. 가지치기, 센서등 교체, 배관 보수 작업 중 추락 사고의 원인과 예방 방안을 확인하세요."안전은 작업장에서 최우선 과제입니다.모든 작업자는 안전수칙을 준수하며,철저한 점검으로 사고를 예방해야 합니다."사다리 사고 개요 및 현황2024년 한해동안 사다리 작업 중 발생한 중대재해 사례는 여러 건 보고되었습니다. 각 사고는 작업 환경에서의 안전 장비 미흡, 관리 감독 부족 등으로 인해 사망에 이르렀습니다.사다리 사고 사례2024년 8월 24일 , 경북 경주시 소재 양궁장 중축공사 현장 :비막이 장치 설치 작업 중 3.3m 아래로 추락 사망2024년 8월 27일, 경기도 화성시 소재 병원: 센서등 교체 작업 중 사다리에서 추락, 2.3m 아래로 떨어져 사망.2.. 2025. 1. 15. 감전 사고 | 수변전설비 내화 충전재 설치 중 감전으로 인한 사망 사고 충남 서천군 소재 식품공장 신축공사에서 수변전설비 내화 충전재 설치 작업 중 감전 사고로 작업자가 사망했습니다. 감전 방지를 위한 안전대책을 확인하세요. "전기 설비 작업 시, 감전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고, 절연 보호구를 착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해야 합니다."감전 사고 개요 및 현황2024년 1월 8일 오전 8시 25분경 충남 서천군 소재의 식품공장 신축 공사 현장에서 감전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수변전설비 내화 충전재 설치 작업을 하던 중 재해자가 퓨즈에 감전되어 치료 중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였습니다.사고 원인 및 조사 결과해당 사고는 작업 전 전기 설비의 전원 차단 여부를 확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퓨즈 작업 중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태였으며, 절연.. 2025. 1. 8. 추락 사고 | 소방 배관 설치 중 1.8m 높이 사다리에서 추락 사망 전주 아파트 소방설비 공사 현장에서 A형 사다리에 올라 소방 배관 설치 작업 중 재해자가 1.8m 높이에서 추락해 사망했습니다. 사다리 사용 시 안전수칙 준수가 필요합니다."사다리 작업은 항상 평탄하고 견고한 바닥에서만 수행해야 하며,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조치가 필수입니다."추락 사고 개요 및 현황2024년 1월 3일 오전 11시 20분경, 전북 전주시의 한 아파트 소방설비 공사 현장에서 A형 사다리에 올라 소방 배관 설치 작업을 수행하던 중 재해자가 추락해 사망했습니다. 재해자는 약 1.8m 높이에서 바닥으로 떨어져 즉시 사망하였습니다.사고 원인 및 조사 결과조사 결과, 작업 현장은 평탄하지 않은 지면이었으며, 사다리 사용 중 미끄러짐으로 인해 재해자가 중심을 잃고 추락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사다.. 2025. 1. 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