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무지식/안전 동종 사고사례 예방

2024 산업재해 통계 분석: 사망자는 왜 줄지 않았을까?

by 얕넓지식 2025. 5. 18.
반응형

2024년 산업재해 통계가 공개됐습니다. 겉으로 보기엔 전년 대비 재해율 증가 폭이 크지 않아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사망자 수, 질병 재해율, 특정 업종 재해자 수가 모두 증가했습니다.
그중에서도 눈에 띄는 건 ① 60세 이상 고령자 사망자 비중, ② 5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의 위험성, ③ 떨어짐·끼임 사고의 지속 반복입니다.

> 전체 사망자 수: 2,098명 (전년 대비 4.1% 증가)
> 재해율: 0.67% / 질병재해율 15.7% ↑
> 고령자(60세 이상) 사망자 비중: 48.9%
> 건설업 사망자: 전체 39.7% 차지
2024년 전체 산업재해 사망자 수는 2,098명으로, 전년 대비 4.1% 증가

#1. 사망자 수 증가 업종은?

24년 사망사고 발생현황: 건설업 외에도 제조업, 운수업, 서비스업군에서 사망자 수 증가


건설업은 여전히 사망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업종으로, 전체의 39.7%를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제조업(+22명), 운수창고통신업(+27명), 기타의사업(+5명)은 전년 대비 더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업종입니다.
특히 운수창고통신업은 물류 노동자의 교통사고, 제조업은 기계설비 끼임 사고가 주요 원인으로 반복되고 있습니다.


#2. 사업장 규모가 작을수록 더 위험

24년 사망사고 발생현황: 5인 미만 사업장에서 가장 많은 사망자 발생, 규모 작을수록 위험

5인 미만 사업장에서만 무려 526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전체 재해율도 1.15%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는 기본적인 안전관리 인력 부재, 보호구 미지급, 작업감독 미이행에서 기인합니다.


#3. 떨어짐·끼임 사고 반복… 왜?

24년 사망사고 발생현황: 떨어짐, 끼임, 교통사고가 여전히 주요 사망 원인으로 지목됨

사고사망자 유형을 보면 떨어짐 278명, 끼임 97명, 교통사고 89명 순으로 여전히 기초 안전조치 미흡에서 기인한 사고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단순한 계도보다, 작업 환경 설계와 교육 강화가 시급합니다.


#4. 누가, 언제, 어디서 가장 많이?

24년 사망사고 발생현황: 고령자, 단순노무직, 월요일 오전 등 특정 조건에서 사고 집중
  • 고령 근로자(60세 이상): 1,107명(사고+질병 합산)
  • 단순노무 종사자: 전체 사망자의 50.9%
  • 월요일 오전 10~12시 사고 집중

#5. 지역별 위험도 차이도 명확

24년 사망사고 발생현황: 산업단지 및 대도시 밀집지역에서 산업재해 사망자 수 높은 경향

사망자 수는 경기(184명), 경남(52명), 서울(46명) 순으로 많았습니다. 대규모 산업단지가 있는 지역, 공사량이 많은 광역시에서 위험도가 높습니다.


관련자료: 산업재해현황 (출처: 고용노동부)
2024년 산업재해현황(홈페이지).hwp
1.49MB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