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무지식/안전 업무 지식

계단 및 발판사다리의 구조 및 안전 요건 정리 (KOSHA 기술지원규정 A-G-2-2025)

by 얕넓지식 2025. 2. 25.
반응형

작업장에서 계단과 발판사다리는 작업자의 안전한 이동을 보장하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에 따라 구조적 요건과 안전 기준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본 글에서는 계단과 발판사다리의 설계 및 설치 기준을 설명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관련 도면을 포함하여 정리하겠습니다.


계단 및 발판사다리의 일반 안전 요건

모서리 및 용접부 처리

▶ 사람의 신체에 충격을 줄 수 있는 날카로운 모서리 및 용접부 제거 필수

미끄럼 방지 처리

▶ 발판 끝부분과 계단참 표면에 미끄럼 방지 처리를 적용해야 함

강도 및 안정성 유지

▶ 지주·고정대·테두리는 충분한 강도를 유지해야 하며, 사용 중 변형이 없어야 함

하중 기준 충족

▶ 발판은 1,000mm × 1,000mm 면적에서 500kg(4900N) 하중을 견뎌야 함
▶ 안전율 4 이상 유지 필수

처짐량 제한

▶ 발판과 구조물의 처짐량은 L/300 또는 6mm 초과 금지

부식 저항성 확보

▶ 사용 재료는 환경적 요인(습기·화학작용 등)에 의한 부식을 방지해야 함

발판 겹침 요건

▶ 평면 발판: 0mm 이상(r≥0mm)
▶ 판 모양 발판: 10mm 이상(r≥10mm)


#1. 계단 설치 안전 기준

계단 설치 시 다음과 같은 치수 및 구조 요건을 준수해야 합니다.

계단 설치 기준 kosha 기술지침 (A-G-2-2025)
계단 발판 치수 규정

▶ 발판 깊이(g)와 답단 높이(h)는 600 ≤ g + 2h ≤ 660mm 충족해야 함

답단 높이(h) 일관성 유지

▶ 모든 계단의 답단 높이는 일정해야 하며,
▶ 단, 첫 번째 계단은 15% 이내 변화 가능

머리 공간 확보

▶ 발판 위 머리 공간 높이(e)는 2.3m 이상 유지해야 함

계단 폭(L) 규정

▶ 손잡이 또는 지주(세로대) 사이의 계단 폭은 1m 이상
▶ 여러 명이 동시에 통행하는 경우 1.2m 이상

계단참(P) 설치 기준

▶ 바닥에서 3m를 초과하는 계단은 3m마다 계단참 설치 필수
▶ 계단참의 길이는 진행 방향으로 1.2m 이상 유지해야 함

최고 상부 발판 기준

▶ 계단의 최고 상부 발판은 반드시 계단참과 연결


#2. 발판사다리 설치 안전 기준

발판사다리는 짧은 수직 이동을 위한 구조물로, 다음과 같은 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발판사다리 설치 기준 kosha 기술지침 (A-G-2-2025)
답단 높이(h) 기준

250mm 이내 유지 필수

발판 깊이(g) 기준

▶ 발판 깊이는 80mm 이상 유지

답단 높이(h) 일관성 유지

▶ 동일한 발판사다리에서는 모든 답단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
▶ 단, 첫 번째 답단은 15% 이내 변화 가능

머리 공간 확보

▶ 발판 위 머리 공간 높이(e)는 2.3m 이상

난간 및 지지대 사이의 폭 기준

▶ 통로 폭은 최소 300mm 이상, 최대 800mm 이내

계단참(플랫폼) 기준

▶ 계단참(플랫폼)까지의 수직 높이(H)는 3m를 초과할 수 없음


4· 결론

계단과 발판사다리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철저한 기준을 따라 설치해야 합니다. 강도·미끄럼 방지·공간 확보·일관된 치수 유지가 핵심이며, 발판사다리의 경우 적절한 폭과 높이 제한을 준수해야 합니다.
안전한 이동 통로를 구축하는 것은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고,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출처

본 글의 내용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KOSHA)에서 발행한 「A-G-2-2025 작업장 내 통로(경사로·계단·발판사다리)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원규정」(2025. 2.)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A-G-2-2025_작업장_내_통로(경사로,_계단,_발판사다리)_선정_및_설치에_관한_기술지원규정.pdf
0.83MB


이동식 사다리 사용에 대한 최신 법령 해석과 작업 시 안전 사항

이동식 사다리,산업안전보건법에 위한올바른 사용기준이동식 사다리는 산업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도구 중 하나입니다.이 글에서는 이동식 사다리의 안전한 사용법과 관련 법령을 알아보고,

infostorage-go.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