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현장에서의 이동 경로는 작업자의 안전과 효율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초임 안전관리자는 작업자의 동선과 시설 구조를 고려하여 경사로·계단·발판사다리·수직 사다리 중 적절한 통로를 선정해야 합니다. 본 글에서는 경사각에 따른 통로 선정 기준과 안전 고려 사항을 정리하여 설명하겠습니다.
1· 경사각에 따른 통로 선정 기준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통로는 경사각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 0°~20° → 경사로(Ramp)
- 20°~45° → 계단(Stairs)
- 45°~75° → 발판사다리(Step Ladder)
- 75°~90° → 수직 사다리(Vertical Ladder)
경사각이 20° 이하라면 경사로가 적합하며, 20°~45° 구간에서는 계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5° 이상이 되면 발판사다리나 수직 사다리를 사용해야 합니다.
2· 통로별 적용 기준 및 안전 고려사항
2-1· 경사로(Ramp)
✔ 적용 기준 → 경사각 0°~20°
✔ 적용 사례 → 휠체어·지게차·손수레 이동이 필요한 경우
✔ 안전 고려사항
◇ 미끄럼 방지 처리가 필수
◇ 도보용 경사각 최대 10° 권장
◇ 손수레·휠체어 이동 시 최대 3° 이내 유지
2-2· 계단(Stairs)
✔ 적용 기준 → 경사각 20°~45°
✔ 적용 사례 → 일반적인 층간 이동 경로
✔ 안전 고려사항
◇ 계단 높이(h)와 폭(y)은 y + 2h = 600~660mm 유지
◇ 계단 폭은 최소 1m 이상 확보
◇ 3m마다 계단참(Landing) 설치
2-3· 발판사다리(Step Ladder)
✔ 적용 기준 → 경사각 45°~75°
✔ 적용 사례 → 점검·정비용 짧은 수직 이동 구간
✔ 안전 고려사항
◇ 손잡이 및 미끄럼 방지 처리 필수
◇ 고정 지지대 필요
2-4· 수직 사다리(Vertical Ladder)
✔ 적용 기준 → 경사각 75°~90°
✔ 적용 사례 → 점검·유지보수용 한정
✔ 안전 고려사항
◇ 빈번한 사용이 불가
◇ 비상 탈출구로 단독 사용 금지
◇ 높이가 3m 이상일 경우 안전대책 필수
계단 및 발판사다리의 구조 및 안전 요건 정리 (KOSHA 기술지원규정 A-G-2-2025)
작업장에서 계단과 발판사다리는 작업자의 안전한 이동을 보장하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에 따라 구조적 요건과 안전 기준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본 글에서는 계단과 발판사다리의 설
infostorage-go.tistory.com
3· 계단 설치 시 필수 안전 기준
계단 설치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안전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계단 단 높이(h) 일정 유지 (단, 첫 번째 계단은 15% 이내 변화 가능)
✔ 계단 폭(y) → 600~660mm 유지
✔ 계단참(Landing) → 3m마다 설치
✔ 계단 높이 → 2.3m 이상 확보
✔ 하중 및 구조적 요구 사항
▶ 하중 기준 → 500kg
▶ 처짐량 → L/300 또는 6mm 초과 금지
▶ 난간 설치 → 1.2m 이상
계단 및 발판사다리의 구조 및 안전 요건 정리 (KOSHA 기술지원규정 A-G-2-2025)
작업장에서 계단과 발판사다리는 작업자의 안전한 이동을 보장하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에 따라 구조적 요건과 안전 기준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본 글에서는 계단과 발판사다리의 설
infostorage-go.tistory.com
4· 통로 설치 시 고려해야 할 안전 사항
✔ 작업자의 이동 편의성 확보
- 최소한의 노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
- 장비·공구 운반 고려한 구조
- 비상 시 신속한 대피 가능하도록 설계
✔ 미끄럼 방지 및 낙하 방지 대책
- 모든 통로는 미끄럼 방지 설계 적용
- 계단·사다리 사용 시 추락 방지 장치 설치
- 물이 고이지 않도록 배수 시설 마련
✔ 비상 탈출 경로와의 연계
- 사다리는 비상 탈출용으로 단독 사용 불가
- 별도의 비상 경로 확보 필수
5· 결론
초임 안전관리자는 현장의 경사각과 작업 특성을 고려하여 경사로·계단·발판사다리·수직 사다리 중 적절한 통로를 선정해야 합니다. 또한, 계단의 치수 기준·하중 요구사항·안전 설계 요소를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안전한 작업 환경 구축을 위해서는 이동 동선에 따른 최적의 통로를 선정하고, 지속적인 유지보수 및 점검이 필수적입니다.
출처
본 글의 내용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KOSHA)에서 발행한 「A-G-2-2025 작업장 내 통로(경사로·계단·발판사다리)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원규정」(2025. 2.)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난간설치기준
작업장 안전난간 설치 기준, 사진 | 계단·발판사다리 난간 기준
작업장에서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해 계단, 작업대, 발판사다리 및 통로 등에 안전난간을 설치해야 합니다. 본 글에서는 안전난간 설치 규정과 계단·발판사다리 난간 기준을 상세히 정리하고
infostorage-go.tistory.com
'업무지식 > 안전 업무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 사고발생 5단계(Domino Theory) – 안전보건교육 자료, 산업재해 예방 사례 (0) | 2025.03.07 |
---|---|
안전보건 관리책임자의 선임기준 및 사업장 구분 - 고용노동부 질의회시 해석 (0) | 2025.03.02 |
작업장 안전난간 설치 기준, 사진 | 계단·발판사다리 난간 기준 (0) | 2025.02.26 |
계단 및 발판사다리의 구조 및 안전 요건 정리 (KOSHA 기술지원규정 A-G-2-2025) (0) | 2025.02.25 |
[PSM] P&ID에서 파이프(배관), 튜브, 호스 같은 공정 라인, 통신/신호 라인 이해하기 (1) | 2025.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