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무지식/안전 업무 지식171

제조업 전기안전관리자 사업장 별 선임 기준, 교육 (안전관리 보조원 필요 여부 확인) 현 화학 제조업 공장을 다니고 있어 제조업 기준으로 설명드립니다 우리 회사엔 수배전반이 있어 하지만 타사업장에 전기를 공급하지 않아!! 하면 별표 8에 해당되지 않고 전기수용설비 및 비상용 예비발전 설비에 해당됩니다 헷갈리는 수배전설비만 정의드립니다 발전소 또는 비상발전기를 쓰시는 사업장은 맨 아래의 세부규칙을 확인 바랍니다 #1 전기안전관리자 대상사업장, 자격 기준 및 선임대상 (안전관리자, 안전관리 보조원) 전기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8] 전기안전관리자의 선임기준 및 세부기술자격(제25조제2항 및 제30조 관련) 1) 사업장 별 기준 가. 송전 ㆍ 변전설비 및 배전설비 또는 그 설비를 관할하는 사업장 관할하는 사업장을 유의 깊게 보셔야 하는데요 관할사업장은 전기 판매하는 사업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 2023. 2. 23.
산안법) 정기안전보건교육 강사자격, 법정교육이수자(관리감독자,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는 정기안전보건교육을 받아야 하나? 산안법에 따르면 사업주는 근로자에게 안전보건교육을 시켜야 합니다 하지만 법정교육대상자 (관리감독자,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는 정기안전보건교육을 하여야 하는지? 안전보건교육의 강사의 자격 그리고 교육 면제 조건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 봤습니다 #1 정기안전보건교육 강사 자격 및 가능한 교육 1) 강사 자격 안전보건교육 강사의 조건은 안전보건관리책임자, 관리감독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안전보건관리담당자 등입니다. 즉 산안법에 따른 법정교육을 받은 사람은 교육 강사조건에 해당됩니다. 강사 대상 안전보건관리책임자 관리감독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안전보건관리담당자 해당작업 실무 3년 이상 등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26조(교육시간 및 교육내용) ③ 사업주가 법 제29조 제1항부터 제3.. 2023. 2. 18.
정기 안전보건교육 필수 포함 내용 및 세부 내용 구성 근로자의 보건 내용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에 나와있습니다. 하지만 각 대분류에 대하여 이해는 되지만 교육커리큘럼을 짜기 위하여 세부내용이 필요합니다. 어떤 자료를 취합하여 교육을 진행하는지 정리하였습니다. 교육을 진행한 PPT (작업장 사례를 제외) 또는 사용 자료는 추후 공유드리겠습니다 #1 근로자 정기보건교육 내용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5] 안전보건교육 교육대상별 교육내용(제26조제1항 등 관련) 산업안전 및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에 관한 사항 직무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직장 내 괴롭힘,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 .. 2023. 2. 15.
PSM 등급평가 평가 기준, 점검 항목 및 등급 배점 (PSM 세부 평가 항목 자료 첨부) 21.05월 기준으로 PSM 대상사업장은 S등과 M+ 등급이 많습니다. 대다수의 사업장은 2년 1회 이행상태를 받는데 아래에 작성한 평가 방법과 기준을 보시고 어떤 방향으로 관리를 할 것인지. 빌드업을 하기 위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PSM 평가 방법과 평가 기준, 세부평가 항목을 준비하였고 자체감사 또는 이행상태 전 체크를 해보시면 좋습니다. #1 PSM 등급평가란? 공정안전보고서 사업장의 이행상태를 확인하고 차등관리를 통한 평가, 관리방법 신규평가, 정기평가, 재평가가 있으며 여기서 중점적으로 다뤄볼 것은 정기평가(등급평가)입니다. 대체로 사업장 단위로 실시하며 유해위험설비 추가 등 보고서를 추가로 제출하는 경우 추가 보고서를 낸 부분은 평가 면제 됩니다. #2 PSM 등급평가 점검 항목, 배점기준.. 2023. 1. 28.
PSM 이행상태 점검 법령, 대상, 점검 종류 및 주기 (+ 기술지도 차이점, 등급평가) 공정안전보고서대상 사업장은 노동부로부터 이행상태를 받으셔야 합니다. PSM에 따라서 사업장을 잘 관리하는지 파악하기 위함인데요. PSM 이행상태의 종류, 기술지도는 무엇인지?, PSM 등급별 주기는 어떻게 되는지 정리하였습니다 #1 PSM 이행상태 1) 공정안전보고서 이행상태란? PSM(공정안전보고서)는 고용노동부의 주관으로 PSM의 사업장이 PSM 제도를 잘 운영하는지를 평가하며 12대 요소 + 현장확인 +면담 등 기준에 맞게 평가를 진행 합니다. 또한 문제가 되는 내용에 관하여 시정명령 및 과태료를 부과를 하기에 사업주는 PSM에 따라 운영되는지 파악하여야 합니다. 공정안전보고서 12대 요소 공정안전보고서(PSM) 면담 준비 12대 요소 암기 자체감사, 검열을 진행하며 면담 부분 중 12대 요소 및 .. 2023. 1. 28.
유해화학물질 취급자 비대면 교육 신청 매뉴얼 (유해화학물질 취급자 법적 근거, 교육 대상 및 주기, 교육기관)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시는 사업장이 받아야할 교육중 취급자 교육에 관하여 설명드립니다. 유해화학물질 취급자 법령, 교육 대상, 교육 주기, 교육 기관과 비대면 교육 신청방법을 사진을 첨부하여 매뉴얼화 하였으니 업무에 도움되길 바랍니다 #1 유해화학물질 취급자 교육 1) 법적근거 화학물질관리법 제33조(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① 제28조제2항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기술인력, 제32조에 따른 유해화학물질관리자,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 담당자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교육기관이 실시하는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이하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이라 한다)을 받아야 한다. ② 유해화학물질 영업자는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을 받아야 할 사람을 고용한 때에는 그 해당자에게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을 받.. 2023. 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