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무지식/위험물, 소방 업무 지식43

소방안전관리자(보조자) 실무경력이란? 제출 서류는? 소방안전관리원에서의 자격시험을 치르기 위해서는 많은 조건들이 있지만 하위 자격증을 따고 경력인증, 하위 경력 n 년 수행 등이 있습니다. 이때 경력이란. 단순히 업무를 진행하였는지? 아니면 선임경력을 말하는 건지 정확히 판단이 되지 않을 텐데 소방안전원의 질의응답을 통하여, 시험 응시내용을 통하여 자세히 말해보겠습니다.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실무경력, 제출서류실무경력은 소방안전원의 내용에 따라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소방안전관리대상물에서 실무경력(선임경력) 사항 확인이 필요한 경우 지정된 양식에 따라서 준비해야 하며 단순히 실무를 하였다~가 아닌 소방안전관리자(보조자)로 소방서에 선임이 되어야 경력으로 인정이 됩니다. 소방안전관리자 실무경력 제출 시 필요한 서류선임, 경력기간이 기록된 경우① 응시자격 서류.. 2023. 9. 11.
소방관계법규) 음식조리를 위하여 설치하는 소방설비 소방설비기사(전기)에 출제된 문제중 오답노트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틀린 문제와 제가 행하는 암기법에 대하여 간단간단히 작성하였습니다. 화재예방 시행령 별표1엔 보일러, 난로, 건조설비, 가스 전기, 불꽃사용하는 용접, 용단기구, 화덕설비, 조리설비에 대한 기준이 있습니다. 그중 조리설비에 관한문제가 자주 출제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소방관계법규 문제 및 암기음식조리를 위하여 설치하는 설비화재예방법 시행령 별표1주방설비에 부속된 배출덕트는 0.5mm 이상의 아연 도금강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내식성 불연재료로 설치열을 발생하는 조리기구로 부터 0.15m 이내 거리에 있는 가연성 구조부는 석영판 또는 단열성이 있는 불연재료로 덮어 씌울것주방시설에는 동물 또는 식물성 기름을 제거할수 있는 필터 등을 설치열을 .. 2023. 8. 12.
위험물 안전관리자 선임 기간, 선임 자격, 선임 인원(보조자) 위험물 안전관리자의 선임 자격과 선임 신고 기간 그에 따른 과태료, 제조소등의 선임자격 요건을 정리하였고 위험물 취급 규모에 따른 위험물 안전관리자(보조자) 선임 인원을 작성하였습니다.위험물 안전관리자 선임 관련 법령 및 내용 해석위험물안전관리법 제15조(위험물안전관리자) #1 위험물안전관리자 선임기간안전관리자 해임하거나 퇴직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선임하여야 함 (최초 허가를 받은 위험물제조소 등은 실제 사용 전까지)선임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고하여함※ 선임신고 해임신고 또는 퇴직신고를 기간 이내 하지 않거나 허위로 할 경우 벌금 및 과태료가 생길수 있습니다 (과태료 및 벌금은 최하단에 따로 정리 하였습니다) #2 위험물안전관리자 시설별 자격제조소, 저장소, 취급소별 .. 2023. 7. 21.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조건 및 업무, 자격증 신청 방법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와 소방안전관리자 자격증 신청 및 발급방법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을 보시면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하여 자격이 되는 사람으로서 자격증을 발급받은 사람이 선임이 가능하다고 나와있습니다.이전엔 단순히 자격증만 있으면 선임하였지만 아래의 내용을 보면 이젠 자격증이 있어야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하여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조건 및 업무, 자격증 신청하는 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소방안전관리자 선임 시 자격증 발급에 관한 내용 소방안전관리자 업무, 선임 조건먼저 소방안전관리자의 선임에 앞서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와 자격요건을 알아보겠습니다.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소방계획서 작성 및 시행피난 시설 및 방화시설의 유지 관리소방훈련 및 교육화기취급 관리 감독그 밖에 소방.. 2023. 7. 9.
위험물, 유해화학물질 보관 위반 관련법, 벌금 위험물 불법보관 사례와 벌금, 과태료를 정리하였습니다. 아래 기사를 보고 위험물 불법보관이 어떤 조항에 의하여 법에 위배되는지 어떤 조항에 벌금이 매겨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추가로 유해화학물질 종류 및 유해화학물질 불법보관도 작성하였으며 관련 법을 PDF로 첨부하였습니다 기사로 알아보는 위험물 불법보관 벌금 경기도 특사경, 위험물 저장 등 제약회사 불법행위 적발 기사내용 요약 위험물안전관리법 위반 등 13건 지정수량의 30배를 초과하는 위험물을 저장하는 등 제약회사 내 불법행위가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찰단에 대거 적발됐다. 경기도 민생특별사법경 n.news.naver.com 주요 위반사례를 보면 화성시에 위치한 A 제약업체는 지정수량 30배가 넘는 시클로헥산 등 제4류 위험물을 허가받지 않은 장소에 저장하.. 2023. 6. 13.
[실무자 지침]위험물의 정의, 지정수량 및 배수 계산법 위험물관리자로서 위험물 취급탱크와 저장탱크의 차이가 무엇인지? 위험물 취급탱크 신설 또는 변경등으로 언제 인허가를 받아야하는지? 정확히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필수로 알아야할 위험물 실무에 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1. 위험물 정의 및 지정수량위험물의 정의는 아래와 같이 나와있으며 비고의 가연성 중심 부분을 빨간색으로 표기를 하였습니다. 위험물 판별법이 두가지가 있으며 첫번째로 법령을 찾는 직접적인 방법, MSDS를 확인하는 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위험물의 정의 위험물의 정의 (위험물 안전관리법 시행령 제2조)「위험물안전관리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1항제1호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품”이라 함은 별표 1에 규정된 위험물을 말한다2) 위험물의 지정수량 법령에 따른 지정수량확인 (별표.. 2023. 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