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무지식/안전 업무 지식

고압가스 저장능력 산정 기준 완벽 정리! (해설, 예시)

by 얕넓지식 2025. 3. 20.
반응형

고압가스를 저장·관리하는 모든 시설에서는 저장능력 산정기준을 정확히 이해하고 준수해야 합니다.
잘못된 저장능력 산정은 법적 위반 및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에 따른 기준을 철저히 확인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압축가스 및 액화가스의 저장능력 산정 방식, 저장능력 합산 기준 등을 상세히 정리하겠습니다.

고압가스 저장능력 산정 기준 완벽 정리! (해설, 예시)

1. 저장능력 산정 기준이란?

저장능력 산정 기준이란, 고압가스를 저장하는 탱크나 용기의 허용 저장량을 계산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 저장능력은 가스의 압력, 온도, 비중에 따라 달라지며, 가스의 물리적 특성을 반영한 공식이 적용됩니다.
압축가스액화가스의 저장능력 산정 방식은 다릅니다.


2. 압축가스 저장능력 산정 기준

📌 공식: Q = (10P + 1) × V₁

  • Q: 저장능력 (㎥)
  • P: 35℃(아세틸렌은 15℃)에서의 최고충전압력 (MPa)
  • V₁: 내용적 (㎥)

✅ 예제
✔ 최고충전압력이 10MPa, 내용적이 **1㎥**인 경우,
✔ 저장능력 Q = (10 × 10 + 1) × 1 = 101㎥
📌 즉, 압력이 높을수록 저장능력이 증가합니다.


3. 액화가스 저장능력 산정 기준

📌 공식: W = 0.9 × d × V₂

  • W: 저장능력 (㎏)
  • d: 48℃에서의 액화가스의 비중 (㎏/L)
  • V₂: 내용적 (L)

법령에 따라 규정된 주요 액화가스의 비중 (48℃ 기준)

액화가스 비중 (㎏/L)
액화시안화수소1.57
액화황화수소1.47
액화질소1.47
액화탄산가스1.47
액화아산화질소1.34
액화산화에틸렌1.30
액화염화비닐1.22
액화산소1.04
액화아르곤0.87
액화염소0.80
📌 공식 적용 예시
✔ 액화가스의 비중이 0.87(액화아르곤)이고, 내용적이 10,000L인 경우,
✔ 저장능력 W = 0.9 × 0.87 × 10,000 = 7,830㎏

📌 즉, 비중이 높은 가스일수록 같은 부피에서 저장능력이 더 큽니다.


4. 저장능력 합산 기준 (탱크·용기 간 합산 방식)

✅ 저장능력을 합산해야 하는 경우

법령에 따르면, 다음 경우에는 각 저장탱크 및 용기의 저장능력을 합산하여 평가해야 합니다.

1️⃣ 배관으로 연결된 경우 (무조건 합산)

✔ 저장탱크와 용기가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각각의 저장능력을 합산합니다.
✔ 이는 배관을 통해 가스가 이동하며, 하나의 저장공간처럼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2️⃣ 배관이 연결되지 않았어도 중심거리가 30m 이하인 경우 (합산)

✔ 배관이 연결되지 않았더라도 저장탱크 및 용기 간 중심거리가 30m 이하이거나 같은 건물 내에 설치된 경우, 저장능력을 합산합니다.
✔ 다만, 소화설비용 저장탱크 및 용기는 제외됩니다.
📌 예제
✅ 배관이 연결된 저장탱크 A (50㎥) + 저장탱크 B (30㎥)합산 후 총 저장능력: 80㎥
✅ 배관이 연결되지 않았지만 저장탱크 C (20㎥)와 D (25㎥)가 같은 건물 내 설치총 저장능력: 45㎥


5. 액화가스와 압축가스가 혼합된 경우 계산 방법

✔ 법령에서는 액화가스 10㎏을 압축가스 1㎥로 환산하여 저장능력을 계산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예제
✅ 100㎏의 액화가스 + 50㎥의 압축가스
✅ 액화가스를 압축가스로 환산 → 100㎏ ÷ 10 = 10㎥
✅ 총 저장능력 = 10㎥ + 50㎥ = 60㎥

🚨 이 점을 놓치면 허가 기준을 초과할 위험이 있습니다!


6. 저장능력 초과 시 필요한 절차 (변경허가 기준)

✅ 저장능력이 허가 기준을 초과하면 변경허가를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변경허가 신청 절차:

  1. 변경허가 대상 확인 → 저장능력 초과 여부 점검
  2. 필요 서류 준비 → 인허가 신청서, 저장능력 산정자료 제출
  3. 관할 기관 신고 → 시·도청, 한국가스안전공사 등에 신고
  4. 승인 후 운영 가능 → 변경허가 승인 후 저장 가능

🚨 위반 시 행정처분 가능!
✔ 변경허가 없이 저장량 초과 시 과태료, 시설 가동 중단 등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7. 실무자가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

저장탱크 및 용기의 총 저장량을 정확히 계산하고 있는가?
배관 연결 여부 및 시설 간 거리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가?
액화가스와 압축가스 혼합 시 올바른 환산을 적용하고 있는가?
변경허가가 필요한 경우 즉시 신고하고 있는가?


🚨 실무자가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

 
✅ 저장능력 산정 기준을 준수하지 않으면 법적 문제 발생 가능
✅ 배관 연결 여부, 저장시설 간 거리, 액화·압축가스 환산 기준을 철저히 확인해야 함
✅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즉시 변경허가 신청 필요

📌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구독, 좋아요 해주세요

[별표 1] 저장능력 산정기준(제2조제1항제6호 관련)(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pdf
0.05MB
관련글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적용 대상 vs. 제외 대상 완벽 정리! (2025 최신 개정 반영)

고압가스는 산업 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이지만, 모든 고압가스가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어떤 고압가스는 법적 규제 대상이지만, 일부는 예외 조

infostorage-go.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