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지식/생활정보

메가테스터기(절연저항측정기) 명칭, 사용 방법(단선, 선로 확인)

by 얕넓지식 2022. 9. 16.
반응형

이전에 스위치 콘센트 일체형 스위치로 변경에 관련하여 말씀드렸는데 상전압을 찾는데 테스터기가 있다면 더욱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메가테스터기(절연저항측정기) 명칭, 사용 방법(단선, 선로 확인)

전기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로 실생활에서 쓸 수 있는 테스터기 사용법 말씀드리겠습니다.

#1 메가테스터기 (절연저항측정기) 명칭, 사용 방법

1) BUZZ: 부저 테스트로 도통 테스트를 하는데 씁니다.
2) BATT: 내장된 배터리의 양을 체크하기 위해 씁니다.
3) MΩ (Power Lock): 테스터기의 배터리를 사용하여 절연상태, 저항값을 측정하는 데 씁니다.
4) MΩ: 절연상태, 저항값을 측정하는데 사용하며 테스터기의 배터리를 온오프 하여 사용합니다.
5) ACV: 교류전압 측정입니다. 실생활에서 쓰는 전기는 교류로 콘센트의 전압이 들어오는지 확인할 때 씁니다.
6) DCV: 직류전압 측정입니다. 주로 건전지의 전압을 확인할 때 씁니다.

도통 테스트
쉽게 설명하자면 한쪽 리드봉으로 전류를 흘러 다른쪽 리드봉으로 전류를 받아 단선 여부를 확인하는 용도로 단선이 되지 않았을 경우 테스터기에서 삐~ 하고 부저음이 울립니다.

 

#2 구성별 실생활 사용 방법

1) BUZZ
- 리드봉 꼽는 위치 : 검은색은 아래쪽(고정), 빨간색은 상단
- 아래와 같이 스위치, 콘센트를 교체하려고 빼놨는데 전선 색도 동일하고 어느 것이 하나의 세트인지 확인 불가할 경우가 있습니다.

메가테스터기 사용 예시 : 단선 확인


콘센트의 원리란 '상전 압 -> 콘센트(기기) -> 뉴트럴'로 전류를 보내주며 기기를 작동시키는 것인데
우리의 목표는 상전 압, 뉴트럴이 각각 갈 수 있는 쌍을 찾아주면 되는 겁니다.

(1) 먼저 분전반 차단기를 내리고 차단기 쪽의 임의의 선 두 개를 피복을 벗겨 구리선끼리 연결해 줍니다.

  분전반
차단기 A 빨간선, 파란선 1Set
차단기 B 검정선, 노란선 1Set

(선색은 임의로 작성함)

(2) 접지봉으로 하나의 선을 기준으로 다른 선에 접지봉을 교차로 시험하여 부저가 울리는 것을 Set로 묶습니다.
ex.) 빨강 기준 -> 노랑 안 울림
검정 안 울림
파랑 삐삐삐~~ 울림

2) BATT
- 리드봉 꼽는 위치 : 검은색은 아래쪽(고정), 빨간색은 중간
- 측정 바늘이 중간 BATT GOOD으로 갈 시 메가 테스터기의 배터리는 양호입니다.

3) MΩ / MΩ (Power Lock)
- 리드봉 꼽는 위치 : 검은색은 아래쪽(고정), 빨간색은 중간
- 단선이 아닌 누전, 합선을 찾는 것으로 센 전압을 가함으로 인해 저항값을 측정하는 것으로 무한대를 가할수록 저항값이 이상 없습니다.
- 측정 시 무한대로 찍힐 경우는 최상의 상태이며 가정용의 경우 0.2MΩ이라면 정상기준입니다.
* Power Lock 이란 리드봉에 전압을 계속 주는 상태로 연속적으로 측정 시 사용합니다.
* Power ON/OFF 란 사용 시에만 리드봉에 전압을 주는 것입니다.

4) ACV
차단기 고장 관련하여 사용하면 후단에서 전압이 나가는지 측정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5) DCV
기기 고장 관련하여 사용하면 컨버터 후단에서 전압이 나가는지 측정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