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지식/건강정보

코로나19 위험도 평가 지표, 평가 주기

by 얕넓지식 2022. 12. 8.
반응형
코로나19 위험도 평가 지표, 평가 주기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가 17일 새로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험도 평가 기준을 밝혔습니다. 이제 단순히 확진자 수로만 위험도를 판단하지 않겠다는 게 핵심입니다. 대신 '의료대응 역량 대비 신규 위중증 환자수'나 '고위험군 접종 여부'와 같이 위중증 환자 관리를 보다 핵심적인 지표를 발표하였습니다.

#1 코로나19 위험도 평가 지표

위험도는 '매우 낮음', '낮음', '중간', '높음', '매우 높음'의 5단계로 나뉘며 코로나19 위험도는 '3개 영역 17개 지표'로 평가합니다.

17개 지표 중 정부가 핵심 지표로 꼽은 건 5개로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의료 대응 역량 대비 발생률,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 60세 이상 확진자 수, 60세 이상과 고위험군 추가 접종률입니다.

1) 대응 역량지표

  1.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 재원 위중증 환자 수)
  2. 의료대응 역량 대비 발생 비율
  3. 감염병전담병원 병상 가동률
  4. 생활치료센터 가동률 (+ 재택치료자 비율)
  5. 방역망 내 관리 비율

2) 발생지표

  1. 주간 사망자 수
  2. 주간 신규 위중증환자 수 (+ 중증화율)
  3. 주간 입원환자 수
  4. 주간 일평균 확진자 수 (+ 주간 발생률)
  5.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
  6. 확진자 중 접종자/미접종자 비율
  7. 감염재생산지수(Rt)
  8. 검사양성률

3) 예방접종지표

  1. 누적 예방접종완료율
  2. 60세 이상 누적 예방접종완료율
  3. 60세 이상 및 고위험군 추가접종률
  4. 백신 효과 (감염, 위중증, 사망 예방)

한국일보 뉴스 : 코로나 19 위험도 평가 지표 체계

#2 코로나19 위험도 평가 주기

평가는 '주간 평가' > '단계 평가' 순으로 진행

주간 평가

매주 3개 영역 17개 지표로 주간평가를 진행

단계 평가

단계적 일상회복'의 다음 단계로 나아갈 것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평가를 진행

단계 평가에 대해 "4주 동안 평가를 하고 이후 2주 동안 평가를 해서 다음 단계로 넘어갈지 결정한다"며 전날 4주 주기로 발표했지만 사실상 6주 단위로 평가하는 셈입니다.

긴급 평가
  • 상황이 아주 심각하다고 판단될 때 시행하는 평가
  • 중환자 병상 가동률이 75% 이상일 경우
  • 주간평가가 '매우 높음'인 경우
  • 4주간의 단계 평가가 '높음' 또는 '매우 높음'인 경우
  • 일상회복자문위원회 방역의료분과 전문가 의견이 있을 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