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부터 안전보건공단의 모든 지원사업이 ‘산업안전포털(portal.kosha.or.kr)’로 통합됐어요.
기존에 따로 사용하던 위험경보제(ePSM) 사이트도 사라지고, 이제는 하나의 ID로 건강진단부터 인증신청, 위험경보제까지 다 처리할 수 있게 바뀐 거죠.
그런데… 포털에 들어가 보면 메뉴도 많고, 뭘 신청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는 분들 많으시죠?
특히 우리 사업장이 50인 미만인지, 특정 업종에 해당하는지, 아니면 규모에 상관없이 신청 가능한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항목이 다 달라요.

그래서 제가 사용자매뉴얼(PDF)을 기준으로, 사업장 규모와 대상에 따라 어떤 항목을 신청할 수 있는지 정리해봤어요.
#1.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 전용 항목
PDF에서 “50인 미만”이라고 명확히 적혀 있는 항목들이에요.
건강검진, 작업환경 측정 등 소규모 사업장을 위한 실질적 지원이 여기에 해당돼요.
항목 | 설명 |
건강디딤돌 – 50인 미만 사업장 신청 | 근로자 건강검진 비용 지원. 신청 시 고용보험 근로자 수 입력 필수 |
건강디딤돌 – 공동주택 | 아파트, 연립, 기숙사 등 소규모 공동주택 관리사업장도 신청 가능 |
건강디딤돌 – 건설일용직 | 건설현장 일용직 근로자 대상 건강검진. 원청 및 현장정보 입력 필요 |
2. 특정 직종·고위험군 대상 항목
규모보다는 ‘누가 일하고 있느냐’가 기준이 되는 항목들이에요.
특정 직종이나 건강 위험이 높은 분들을 위한 맞춤형 지원이에요.
항목 | 설명 |
직종별 건강진단 | 택배기사, 건설기계운전자, 환경미화원, 대출모집인 등 업종별로 분류 |
심층건강진단 – 뇌·심혈관 고위험군 | 고위험군 근로자를 위한 건강검진. 사업자 또는 근로자 개인 신청 가능 |
찾아가는 질식재해예방 One-Call 서비스 | 밀폐공간 작업장에 장비를 빌려주는 방문형 서비스 |
3. 사업장 규모와 관계없이 신청 가능한 항목
여기는 누구나 신청 가능한 항목들이에요.
특히 위험경보제는 기존 ePSM 사이트가 없어지면서 여기에 완전히 통합됐어요.
항목 | 설명 |
화학사고 위험경보제 | 공정 선택 후 체크리스트(15항목) 작성 및 제출. 반려 시에만 수정 가능 |
돌발위험경보제 신청 | 분기별로 위험 발생 상황에 대해 추가 보고 가능 |
사후관리보고서 조회 | 제출 이력 확인, 보고서 다운로드 기능 제공 |
취급물질현황 등록 | 인화성 액체/가스 등 사업장 내 취급물질 등록 |
PSM 공정 및 설비정보 등록 | 공정유형과 주요 설비 등록. 위험경보제 신청 전 필수 단계 |
협력업체 현황 관리 | 하청업체 작업 정보, 작업 기간, 재하청 여부 등 입력 및 저장 가능 |
한눈에 보기 요약!
분류 | 해당 항목 (PDF 기준) |
50인 미만 전용 | 건강디딤돌(50인 미만/공동주택/건설일용직) |
특정 대상자 중심 | 직종별 건강진단, 심층건강진단, One-Call 질식예방 |
전 사업장 대상 | 화학사고 위험경보제, 돌발경보, 사후관리, 물질/설비/협력업체 등록 등 |
마무리하며
사용자매뉴얼은 그림이랑 순서도 중심으로 잘 정리돼 있어서
한 번만 읽어보면 실제 신청할 때 어렵지 않게 따라갈 수 있어요.
특히 소규모 사업장이나 특정 직종은 놓치면 아까운 지원사업들이 많으니,
꼭 해당 여부 확인하고 신청하시길 추천드려요.
혹시 신청 단계가 헷갈리거나, 어떤 화면인지 미리 보고 싶으신 분은 PDF 원문을 참고하시거나, 댓글 남겨주시면 요약 버전도 공유드릴게요!
'업무지식 > 안전 업무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정안전관리 설비점검표 작성법|고시 제32조 & KOSHA P-93 검토, 점검항목 (1) | 2025.05.09 |
---|---|
안전관리자 해임, 이제는 “보고의무”가 생긴다 – 2025년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0) | 2025.04.28 |
작업허가서 자동화 만들기 - 작업신청서 프로그램 (0) | 2025.04.09 |
중처법) 적격수급인 평가, 안전보건관리계획서 평가 항목, 세부 기준 예시 (0) | 2025.03.27 |
고압가스 설비와 용기, 정기검사 주기 한눈에 보기! (0) | 2025.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