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지식/안전 업무 지식164 이동식 사다리 사용에 대한 최신 법령 해석과 작업 시 안전 사항 이동식 사다리,산업안전보건법에 위한올바른 사용기준이동식 사다리는 산업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도구 중 하나입니다.이 글에서는 이동식 사다리의 안전한 사용법과 관련 법령을 알아보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합니다.# 이동식 사다리 관련 법령하지만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르면, 이동식 사다리는 기본적으로 작업발판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이동과 접근의 목적으로만 활용되는 것이 원칙입니다.이는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24조(사다리식 통로 등의 구조)에서 명시하고 있습니다.하지만 산업현장에서사다리에서 작업이많기에24년 6월 산업안전기준 제42조(추락 방지)를 신설하여 사다리에서 작업의 안전기준을 명확히 규정하였습니다.1. 사다리식 통로의 구조 요건 (산업안전보건기준 제24조) 제24조는 사다리식 통로의 구조와.. 2025. 1. 14. 안전인증과 안전검사의 차이점 및 관련 법령 완벽 정리 산업 현장에서 안전은 생산성과 직결된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를 보장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가 바로 안전검사와 안전인증입니다. 두 제도는 모두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그 시행 시점과 주체, 대상 등에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제도의 차이를 상세히 알아보고안전검사는 해당되지만 안전인증은 해당되지 않는 것안전인증은 받지만 안전검사는 받지 않는 것을 알아보겠습니다.#1 안전인증과 안전검사 제도의 주요 차이점먼저 두 제도의 차이점을 표로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안전검사안전인증시점사용 중, 설치 후제작 또는 수입 이전대상기존 기계 및 설비신규 기계 및 설비주체사업주 요청 또는 정부 명령제조업체 신청결과안전성 적합 여부 확인생산/유통 허가 부여안.. 2025. 1. 12. 건강검진 일정을 미뤄도 될까? 과태료와 법적 책임 총정리 건강검진 일정을 미루면 과태료가 부과될까요? 건강보험법과 산업안전보건법 기준으로 건강검진 과태료와 법적 책임을 알아봅니다.건강검진 일정을 미뤄도 되는지? 과태료와 벌칙까지 알아보자건강검진은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하지만 바쁜 일상 속에서 건강검진 일정을 미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건강검진을 받지 않으면 법적으로 문제가 될까요? 과태료나 벌금은 없는지, 건강보험법과 산업안전보건법을 기준으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건강검진을 왜 받아야 할까?건강검진은 심혈관 질환, 암, 당뇨 등 치명적인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는 중요한 절차입니다.건강보험법과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건강검진 일정을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특히 사업장 근로자에게는 필수적으로 건강검진을 실시해야 합.. 2025. 1. 6. 안전관리자 업무 전담 여부 질의 회신의 내용 중 상시근로자 300명 미만의 사업장에 선임된 안전관리자의 업무 전담 여부에 관하여 말씀드립니다. 1. 관련법령 산업안전보건법 제17조(안전관리자)③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의 종류 및 사업장의 상시근로자 수에 해당하는 사업장의 사업주는 안전관리자에게 그 업무만을 전담하도록 하여야 한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16조(안전관리자의 선임 등)① 법 제17조제1항에 따라 안전관리자를 두어야 하는 사업의 종류와 사업장의 상시근로자 수, 안전관리자의 수 및 선임방법은 별표 3과 같다. ② 법 제17조제3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의 종류 및 사업장의 상시근로자 수에 해당하는 사업장”이란 제1항에 따른 사업 중 상시근로자 300명 이상을 사용하는 사업장[건설업의 경우에는 공사금액이 120억.. 2024. 12. 26. 연안법)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보고서(R&DSA) 작성 요령, 법정 양식 연구실 안전환경조성법(이하 연안법)에 관한 실무를 하다보면 생소한 단어가 있다.사전유해인자 위험분석을 실시하고 연구주체의 장에게 보고를 하라고 하는데..걱정할것 없다.관련 법령과 작성요령을 설명하려고 하는데 산업안전보건법에 빗대에 쉽게 설명을 하겠습니다. 1.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보고서 관련 법령연구실 안전환경조성법. 약칭 연구실안전법은 타법들과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법에서 인용이 되었다.특히 이번 파트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많이 인용이 되었다고 생각된다.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제19조(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의 실시)① 연구실책임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절차 및 방법에 따라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연구활동 시작 전에 유해인자를 미리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을 실시하여야 한다. ② 연구실책임자는 제1항에 따른.. 2024. 12. 5. P&ID 도면 읽는 방법 (약어, 레전드 등 설명, PSM 공정배관계장도 검토) 제조업 안전관리자를 하다 보면 PID를 자주 접하게 된다.특히나 PSM 대상 사업장의 경우 P&ID가 기초적 자료로 이 P&ID도면을 통하여 위험성 평가, 변경관리, 설계자료 등 을 검토해야 하기에 P&ID을 검토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글쓴이는 화공학과를 나왔지만 안전설계를 배우지 못하였다그래서 처음 혼자 터득할 때의 느낌으로 설명드립니다.먼저 P&ID의 정의 도면의 구성(리스트, 레전드, 도면), 어려웠던 내용의 설명과 검토 시 주의점을 설명드립니다글을 쓰는데일주일은 걸려요ㅠ좋아요와 많은 관심,클릭 부탁드려요#1 P&ID설명먼저 풀네임을 알면 이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Piping&Instrument Diagrem으로 공정배관&계장 도면으로 공정의 위험설비에 연결된 배관과 압력계, 온도계와 같은 계기.. 2024. 11. 12. 이전 1 ··· 3 4 5 6 7 8 9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