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 제조업 안전관리자로서 위험성평가를 진행하며 기존양식에 대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기존 양식을 추가 및 개선하였습니다.
정기 위험성평가로 자주 쓰는 5x4 강도 빈도법 위험성평가의 개정한 양식을 공유합니다.
KRAS기법과 안전관리자 신규/보수 교육 시 강사님들의 말씀을 반영하여 개선을 진행하였으나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보완하여 사용 바랍니다.
강도, 빈도 위험성평가 진행에 있어 문제점 및 개선
중처법 시행 이후 유해위험발굴을 연 1회 실시하라고 하는데 대부분 정기위험성 평가로 가름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어디서 나온 지 모르는 양식을 쓰고 있는데 몇 명의 친구들에게 양식을 받아봐도 모두 똑같은 양식을 사용하고 있다.
기존 양식
- 안전보건상 위험정보
- 위험성평가실시자료
- 개선자료
- 위험성 추정
이렇게 위의 구성으로 작성이 되는데 경력자의 경우, 회사를 오래 다닌 경우는 위평에 아무 문제없었다.
하지만 신입일 경우, 근속연수가 별로 안된 사람의 경우 문제가 되었는데...
위험성평가 진행 시 문제점
요즘은 OPS와 같은 체크리스트법과 같은 상시 위험성 평가가 있지만 내가 다녔던. 다니고 있는 화학제조업은 변경점이 많지 않아 연 1회 정기위험성평가(강도 빈도법)가 적합하였다.
하지만 중처법이 시행되며 근로자의 전원참여가 중요하다고 하는데 신입들은 입 뻥끗하지 못하고 경력자들만 말하고 있다.
그래서 면담을 해봤더니 아래와 같은 답변이 나왔다.
문제점이 뭘까?
- 위험성평가가 뭐예요?
- 저는 그 공정/작업 몰라요
- 저는 그 물질이 뭐에 쓰는지 몰라요
- 그냥 선배들이 그렇게 해서 똑같이 했어요
- 어떤 위험이 있는지 몰라요
그래도 다행이다.
'참여하기 싫어서 안 했어요.'라는 말이 나오지 않아서.
위평 문제점 개선 방향
1) 위험성평가를 모른다?
위험성평가가 모른다는 말은 나의 불찰이다.
안전관리자를 해온 입장에서 당연히 알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래서 위평 계획서와 단계별 교육자료를 만들어 교육을 시켰다.
(계획서와 단계별 교육자료는 추후 올리겠습니다)
2) 공정/ 설비 물질 모름, 시키는 대로 했다?
운전절차서 교육 등 OJT가 전혀 안되었다라고 생각하는데.. (대부분 그럴 것이다)
안전관리자 교육을 받으며 강사님들의 자료를 보고 위험성평가하는 김에 안전운전절차에 반영이 되도록 운전절차(행동)를 상세히 작성하는 시트를 추가하였다.
그리고 KRAS 시스템의 양식을 따와 현재의 안전보건조치를 작성할 수 있도록 수정하여 몸에 베인 행동 중 어떤 행동이 안전을 위한 행동인지 한 번 더 상기시켜 주었다.
두 개의 시트(공정 및 작업 내용, KRAS의 현재 안전보건조치)로 전 근로자의 의견도출을 의도하였다.
3) 어떤 위험이 있는지 모른다.
이것도 나의 불찰인데.
당연히 작업을 하며 자신에게 도래되는 위험을 알거라 생각하였다.
하지만 공정작업이 근로자의 몸에 익숙해진 탓인가? 제 3자인 내가 보기엔 위험한데 근로자는 위험하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각 위험성을 쭉 나열하고 작업에 대하여 체크하는 시트를 추가하였다.
참고로 첨부된 엑셀 PW는 infogo이다.
(저도 급하게 만들어 많이 부족하니 수정, 보완해서 쓰세요)
강도, 빈도 위험성평가 개선 양식 작성요령
신규로 추가된 3개의 시트만 설명을 할까 했는데 또 조금씩 바뀐 시트가 있어 모두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교육자료와 동일하게 만들었는데 조금씩 놓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1) 사전자료 공정 및 작업내용(신규)
운전절차서에 맞게 작성을 하며 각 세부공정의 인력(조작원)의 행동도 작성을 합니다.
신입도 보고 할 수 있도록 기기, 사용 물질들을 써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2) 안전보건상 위험정보
사전 자료인 공정, 작업내용에서 유해요인 대상, 기인물을 분리해 주고 세부공정을 간단히 정리해 줍니다.
기존 양식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중량물 취급현황과 기타 안전보건을 각각 분리해 줬는데 추후 보건관리, 특별교육대상, 작업계획서 대상을 정하기 위하여 분리하였습니다.
3) 유해 위험요인 파악
안전보건상 위험정보의 기인물에 따라 한 줄씩 쭉~ 체크해 나갑니다.
바로 KRAS 표준 위험성 평가로 들어가기에 생각나는 것이 없습니다.
그래서 위험정보에 요인에 따라 1행씩 쭉 훑어보는 게 편합니다.
4) 위험성평가
발굴한 유해 위험과 강도, 빈도 추정기준에 맞게 작성합니다
온라인으로 진행하셔도 되지만 전 직원이 참여하기 위해 출력하여 다 같이 회의하며 적으시는 게 편합니다.
5) 개선대책 및 시행계획
안전보건관리책임자가 주체하는 회의를 통하여 관련부서 협조, 대책을 정합니다.
제거, 대체, 통제순으로 감소를 수립합니다.
위험성 통제
- 제거: 구조변경등을 이용한 위험요소 물리적 제거 (ex. 위험구역의 작업 -> 자동화로 인한 작업 제거)
- 대체: 위험성이 낮은 요인으로 대체 (ex. 유독물질 사용 -> 덜 해롭거나 무해한 물질 사용)
- 공학적: 위험요인으로 부터 작업자 격리 (ex. 방호장치, 환기장치)
- 행정적: 작업 방법 변경 (작업절차서 개정, 작업 허가/계획서 작성)
- PPE: 안전보호구 착용
추가) 위험성 추정기준
각 사업장에 맞는 위험성 추정을 수립합니다.
정확한 기준을 좋으며 교육받을 시 유해요인별 추정기준이 다른 게 맞다고 생각하나. 일일이 대조가 힘들어 통합으로만 작성하였습니다.
위험성 평가 양식
위평 개선한 양식 암호는 본문에 적어놨습니다.
위험성평가 관련 글
'업무지식 > 안전 업무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레인 및 호이스트 등 알맞은 줄걸이 용구 사용방법 (그림 포함) (0) | 2023.09.13 |
---|---|
크레인, 호이스트 방호장치의 종류 및 기능, 작업 전 점검(OPS) (0) | 2023.09.06 |
보건관리자 업무)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 최신 양식 및 작성 요령 (0) | 2023.08.29 |
PSM 제출 관련 질의 응답(Q&A) 내용 정리 (안전보건공단 자료) (0) | 2023.08.25 |
안전밸브(PSV) 설치 대상 및 점검 포인트 (4) | 2023.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