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무지식/안전 업무 지식

현직자에게 들어보는 안전관리자 직업 할만한가? (연봉, 인식, 추천, 자소서에 도움 될 내용)

by 얕넓지식 2023. 6. 7.
반응형

회사원들은 다들 한 번씩 생각해 보게 된다

이게 나에게 맞는 연봉인가?
그리고 이것이 나에게 맞는 직무일까?

솔직히 나도 내가 받는 연봉이 적절한지, 요즘 이 안전관리자 직무가 뜨는 직업인지 가라앉는 직업인지 모르겠다.

안전관리자 직업 추천, 연봉

저는 어느 정도 나이가 있고 이리저리 돌고 돌다가 이 직무가 성취감이 있다고 생각하여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회이슈, 기사들을 보다 보면 참...
그래도 후임 안전관리자를 위하여 현직자의 생각을 나열해보려 한다.
내용에 비판이 많지만 여러분은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안전관리자 연봉

우선 연봉부터 살펴보자.
크게 건설 안전관리자, 제조업 안전관리자로 알아보겠다.
(현시점 기준 채용사이트를 근거로 작성하였으나 객관적인 자료라고 판단하기 힘듭니다. 그리하여 제가 듣고 느낀 것에 대하여 주관적으로 작성합니다.)

건설 안전관리자의 경우

신입 건설 안전관리자의 경우 최소 4,400 만원 정도로 보인다.
대기업의 경우 경력직을 뽑기에 더욱 높아진다.
하지만...

제조업 안전관리자의 경우

이 경우 겪어본 바로 중소, 중견, 대기업으로 나눠진다
(내가 겪은 지역은 워낙 박봉이다 보니 이게 최소일 거라 생각한다.)
중소, 중견기업에서 3,600만 원 이상 건설 안전관리자와 천만 원 이하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렇다고 업무강도가 낮은가? 아니라고 본다.

업무

제조업 기준으로 안전관리자의 업무강도는 생각보다 낮지 않다.

그러면 위에서 강도가 높아서 대우가 좋을 거나 생각하나?

아니라고 생각한다

업무는 산안법 그리고 곧 전체로 확산될 중처법을 관리하게 된다

말이 관리지 사업주, 근로자들이 안전에 전혀 관심 없어하는 사업장은 안전관리자가 실무까지 하려고 낑낑되다가 결국 끅끅되며 머리끄덩이를 붙잡고 이어나가게 된다.

그리고 업무 관하여 몇 가지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관공서를 대응하기 위한 자료가 턱 하니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자료 구성을 어떻게 할지 생각하고 기초자료를 구성하는 것인데 사업주는 현장 안전관리를 중시한다.
(그럴 거면 관리감독자를 뽑아라. 관리감독자의 업무가 현장 안전관리니.)

법에 따른 안전관리자 업무를 진행하기 위하여 회사 지침을 정확히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그에 따른 연간, 월간, 주간 루틴에 맞게 행동하는 것이 좋다

업무 편성 TIP.

후임들에게 했던 말인데 "루틴을 짤 때 근무일수 5일 기준에서 4일 또는 3일 계획하고 행동해라 그리고 나머지 1~2일은 분명 긴급업무가 생길 수 있으며 일과가 여유롭다면 법령 찾는 시간을 가져라"라고 한다.

안전관리자 인식

먼저 22년 3월 기사를 한번 보자

[단독]정부, 안전관리자 문턱 높인다…인력난 심화 불가피

정부가 ‘중대재해처벌 등에 관한 법률(중대재해처벌법)’ 시행 후 수요가 급증한 안전관리자의 자격 기준을 강화하기로 했다. 안...

www.asiae.co.kr

안전관리자 문턱 기사 내용

정부는 안전관리자 자격에 ‘현장 경험’ 등을 추가할 방침이다. 현행법이 규정한 안전관리자 기준이 전문성을 종합적으로 들여다보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산안법에 따르면 안전관리자는 산업안전기사, 건설안전기사 등 자격증 취득, 4년제 대학 산업안전 관련 학과 졸업 등의 조건을 갖춰야 한다. 정부는 이 같은 조건이 학력·자격증에 편중됐다고 보고 있다. 이에 안전관리자 자격으로 산업현장 생산분야 경험 등을 더해 전문성을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다행히 이렇게 되지 않은 거 같다.
말 그대로 경력 있는 신입을 찾는데 진짜 신입은 어디서 경력을 쌓지?
그리고 내 입장에서도 차라리 생산직이 사람과 안 부딪히고 마음도 편하고 돈도 더 주는데 굳이?
라는 생각도 든다.

중대재해 감축로드맵을 진행하는 이 시점. "생각보다 감축되지 않는다"라고 느끼나 보다.

아니.. 우리는 이렇게 사고 발생 안되게 하려고 아등바등하는데..

법적으로 TBM, 위험성평가등을 실시하라고 하는데 중소기업? 아니 대부분인식이 혼자서 산안법, 중처법, 화관법, PSM 등 하라고 시키는데..

일단 현재로선 안전관리자인식이..
관리자가 아닌 "안전"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모든 업무의 담담자로 보고 있는 게 현실이다

제조업 인력난

아래기사를 한번 보자
제조업의 인력실태이다

제조업 인력실태 (출처: KBS)
갑자기 제조업 인력 실태냐?

제조업 안전관리자는 사업장의 근로자들과 조율, 조언, 관리이다
말이 조언이지 명령인데. 같이 으쌰으쌰 할 수 있는 사람이 줄어든다.
(뭐. 안 오겠다는데. 내가 어떻게 할 수 있는 방법도 없고)

요즘 아이들의 꿈들을 보면 유튜버, 연예인이 상위권에 들고 엔터테인먼트 쪽으로 빠지는 실태이다.

그리고 사회초년생은 회사를 들어가면 관리팀, 생산관리, 생산팀, 영업팀은 아는데 환경안전보건부서는 생소한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이건 정말 오래전 일인데 친구들한테 나 환경안전보건부서라고 했는데 청소하는 부서냐고 들은 적도 있는데. 그땐 웃고 넘겼죠.)

안전관리자 추천하냐?

안전관리자 직업 추천 (출처: 픽사베이)

흠.. 너무 비판만 기술한 거 같은데
이 직무가 수요에 비해 공급이 딸린다.

어느 업무든 힘든 건 마찬가지다.
그러니 젊은 나이엔 어떤 경험도 다 중요히 다 생각하며 안전관리자를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생각한다

일단 업무를 하게 되며 얻게 되는 것, 자질을 주관적으로 써보겠다.
(저는 무척 내향적인 사람으로 싫은 소리 전혀 못하는 사람입니다)

얻게 되는 것
  • 보고서 작성요령
  • 지침서, 절차서 작성요령
  • 공정설계 방법
  • 회사의 기초적인 시스템
  • 일적인 대화법
  • 행동 심리
자질
  • 배우려는 자세
  • 계획적인 삶
  • 사업주가 되고 싶은 마음


농담으로 자질은 위와 같이 썼지만 나와 친분이 있는 사람에겐 "회사생활을 하며 지침, 절차를 다 만들었으니 이 자료 싸들고 여기 지침에 맞게 행동해"라고 하며 무조건 안전관리자를 추천한다


안전관리자 보좌 업무 빌드업 방법 (고찰, 지침서, 절차서 작성, 안전의식 향상 교육 요령)

안전관리자의 업무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 관리감독자 보좌로 이 말이 참 애매모호하다 대부분의 회사에선 보좌가 아닌 업무 진행의 개념으로 진행을 하고 있다. 그래서 안전관리자로서 고찰,

infostorage-go.tistory.com

안전관리자 능력 향상, 재해사례 및 재발방지대책 (2016~2021) 모음 SIF

위험성평가, 사업장순회, 유해위험발굴 등 안전관리를 진행하며 제일 힘든 건 위험을 보는 관점 시점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나중에 현업이 안정화가 되면 경험, 동종 사고사례 및 재발방

infostorage-go.tistory.com

반응형

댓글